여성의꿈, 가족의 행복, 공감도시 울산
  • HOME
  • 자료실
  • 정책동향

정책동향

게시판 내용보기
제목 [여성가족부]2018년 국가성평등지수 전년보다 1.2점 오른 72.9점
작성일 2019-12-27 조회 4848
첨부파일

 

2018년 국가성평등지수 전년보다 1.2점 오른 72.9점
- 여성가족부, 2018년 국가 및 지역 성평등지수 발표 -

 

여성가족부(장관 이정옥)는 2018년 기준 국가성평등지수와 지역성평등지수 측정 결과를 12월 24일(화) 발표했다.

 

발표 결과에 따르면, 2018년 국가성평등지수는 72.9점으로 2017년(71.7점) 대비 1.2점 상승하였고, 지역성평등지수는 75.7점으로 2017년(74.4점) 대비  1.3점 상승하는 등 매년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 국가성평등지수 : (’14) 69.3→ (’15) 70.1 → (’16) 70.9 → (’17) 71.7 → (’18) 72.9
* 지역성평등지수 : (’14)71.5 → (’15) 72.1 → (’16) 72.6 → (’17) 74.4 → (’18) 75.7

 

<국가성평등지수 연도별 추이>

<분야별 수준 변화>

 

여성가족부는 국가와 시‧도별 성평등 수준을 파악하여 성평등 관점에서 정책 추진방향을 수립하고, 분야별 과제를 점검하기 위해 2010년부터 매년 국가와 지역의 성평등 정도를 조사하여 발표하고 있다.

 

성평등지수는 성평등한 사회참여, 여성의 인권‧복지, 성평등 의식‧문화 등 3개 영역, 경제활동‧복지‧가족 등 8개 분야로 구성되며, ‘완전한 성평등 상태’는 100점으로 산정된다.

 

국가 및 지역 성평등지수

•(정의) 국가의 성평등 수준을 계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지수화 한 값
•(특징) 남녀의 격차(GAP)을 측정하는 지수(남성 수준 대비 여성 수준)
•(지표체계) 3개 영역, 8개 분야, 25개 지표(지역은 23개 지표)

영역

① 사회참여 영역

② 인권·복지 영역

③ 의식·문화 영역

분야

경제활동

의사결정

교육·훈련

복지

보건

안전

가족

문화·정보

•(산정방법) 성비가 완전 평등 상태는 100점, 완전 불평등 상태는 0점

 

< 2018년 국가성평등지수 >
 
국가성평등지수의 각 영역별로는 여성의 인권·복지 영역(80.0점)의 성평등 수준이 가장 높고, 성평등 의식·문화 영역(75.2점), 사회참여 영역(66.6점) 순으로 나타났다.

 

각 분야별 점수를 살펴보면, 2017년 대비 8개 분야 모두 점수가 상승하였고, 특히 의사결정(1.8점↑)·가족(1.6점↑)·경제활동(1.5점↑) 순으로 높게 상승하였다.

 

※ 의사결정(1.8점) > 가족(1.6점) > 경제활동(1.5점) > 교육・훈련(1.0점) > 안전(1.0점) > 복지(0.8점) > 문화·정보(0.6점) > 보건(0.5점) 순

 

분야별 성평등 수준은 보건 분야(97.3점)가 가장 높은 반면, 의사결정(31.1점), 가족(60.5점), 안전(66.5점) 분야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 보건(97.3점) > 교육·훈련(94.1점) > 문화·정보(89.9점) > 경제활동(74.7점) > 복지(76.3점) > 안전(66.5점) > 가족(60.5점) > 의사결정(31.1점) 순

 

8개 분야를 구성하는 25개 지표 중 22개 지표가 2017년 대비 전반적으로 성평등 수준이 상승하고 있으며, 3개 지표는 하락하였다.

 

육아휴직 성비(6.3점↑), 관리자 성비(3.6점↑), 직업교육훈련경험 성비(2.9점↑)의 성평등 지수는 전반적으로 올랐지만, 가족관계만족도 성비(0.8점↓), 여가만족도 성비(0.7점↓)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2018년 지역성평등지수 >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지역성평등지수는 전국 16개 지역의 성평등 수준을 상위·중상위·‧중하위·하위 등 4단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상위지역은 대구, 대전, 부산, 제주(가나다 순), 하위지역은 경남, 경북, 전남, 충남(가나다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 간 격차는 점차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8년 지역성평등지수 시·도별 수준>

 

등  급

지역 (가나다 순)

상  위 지역

대구, 대전, 부산, 제주

중상위 지역

경기, 서울, 울산, 충북

중하위 지역

강원, 광주, 인천, 전북

하  위 지역

경남, 경북, 전남, 충남


전년에 비해 등급이 상승한 지역은 부산(중상위→상위), 울산과 충북(중하위→중상위), 경기(하위→중상위) 등 4개 지역이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부산·경기는 의사결정, 충북은 문화, 울산은 가족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점수가 많이 상승되었다.

 

지역성평등지수도 국가성평등지수와 같이 의사결정, 안전, 가족 분야가 다른 분야 보다 낮게 나타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건정 여성가족부 여성정책국장은 “성평등지수를 발표한 이래 육아휴직 성비 등 성평등 수준은 점차 개선되고 있으나, 국회의원이나 4급 이상 공무원, 관리자 등 ‘의사결정’ 분야는 여전히 개선이 필요하다”라며,

 

“현재 성평등지수에 변화된 사회상을 반영하고, 정책 활용을 높이기 위해 지수 개편을 추진 중에 있으며, 관계부처와 협력하여 성평등지수가 우리 사회 성평등 수준을 제고하는데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SNS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