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여성가족부]디지털성범죄 피해영상 월평균 삭제지원 건수 지난해보다 2배↑ | |||
---|---|---|---|---|
작성일 | 2019-12-30 | 조회 | 4899 | |
첨부파일 | ||||
디지털성범죄 피해영상 월평균 삭제지원 건수 지난해보다 2배↑
여성가족부(장관 이정옥)와 한국여성인권진흥원(원장 박봉정숙)은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센터’에서 11개월 동안(1.1.~11.30.) 총 1,936명의 피해자에게 총 96,052건을 지원하였다고 밝혔다.
지원센터의 월 평균 삭제지원 건수를 보면 지난해에 비해 2배 이상(’18년 : 3,610건 → ’19년 : 8,213건) 증가하였고, 수사․법률지원 연계 건수도 지난해에 비해 약 1.5배 이상(’18년 : 25건 → ’19년 : 44건) 증가하였다.
삭제지원이 늘어난 것은 삭제지원 인력 증가(9명→16명)와 삭제 지원 경험이 축적되었기 때문이고, 수사‧법률지원 연계가 늘어난 이유는 지원센터와 경찰청의 직통회선(핫라인) 개설과 지원센터 내 전문 변호사 배치에 따른 것으로 분석했다.
<지원센터의 지원 실적> (단위, 명, 건)
* 2018년은 4.30~12.31까지의 실적임 / ** 2019년은 1.1~11.30까지의 실적임
지원센터는 지난 해 4월 30일 운영을 시작하였고, 피해자 보호와 지원을 위해 피해영상물을 신속하게 삭제 지원하고 수사지원, 법률 및 의료지원 연계 등 디지털성범죄 피해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피해자 분석 현황
2019년 지원센터가 지원한 피해자 1,936명 중 여성은 1,695명(87.6), 남성 241명(12.4)으로 디지털 성범죄가 특정성별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접수 시기를 기준으로, 2019년에 피해를 접수한 피해자는 1,416명이고, 나머지 520명은 2018년에 피해를 접수하여 2019년까지 지원받은 피해자이다.
연령별로는 피해자 자신이 연령을 밝히지 않은 경우(929명)를 제외하고, 20대가 479명(24.8)으로 가장 많았고, 10대, 30대, 40대, 50대 이상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10대(15.0)와 20대(24.8) 피해자의 비율이 39.8로 2018년도에 10대(8.4)와 20대(19.1) 비해 12.3p 증가하였다.
<피해자 세부 현황> (단위: 명)
피해유형별 분석 현황
지원센터에 접수된 피해 유형을 보면 전체 피해건수 3천 368건 중 유포 피해가 1,001건(29.7)으로 가장 많았고, 불법촬영이 875건(26.0), 유포불안이 414건(12.3) 등의 순이었다.
이는 피해자가 겪은 피해를 중복 집계한 것으로, 중첩된 피해*를 입은 경우가 총 1,162명으로 나타났다.
* 중첩된 피해 : 불법촬영을 당한 피해자가 유포협박을 당하거나 유포피해가 발생한 경우 등을 의미
<피해 유형별 현황> (단위: 건)
* 기타 : 스토킹, 성폭력, 데이트폭력 등 기타 폭력
가해자 분석 현황
가해자 비율 중 미상과 모르는 사람이 49로 온라인에서 범죄가 발생하면서 가해자를 특정하기 어려운 디지털성범죄의 특성을 보여준다.
<가해자 세부 현황> (단위: 명)
* 친밀한 관계 : 배우자, 전배우자, 애인, 전 애인
피해 인지 경로 분석 현황
2019년 피해자들은 피해 사실을 직접 인지한 경우가 871명(45.0)으로 타인에 의해 알게 된 경우(403명, 20.8)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삭제지원 대상 피해자만 분석했을 때에는 직접 알게 된 비율은 35.3로 타인을 통해 알게 된 비율인 34.1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전체 피해자에서 타인을 통해 알게 된 비율(20.8)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이는 피해자들이 영상물 유포 피해를 직접 알기 어려운 디지털성범죄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피해인지 경로 : 전체 피해자> (단위: 명)
<피해인지 경로 : 삭제지원 대상 피해자>(단위: 명)
삭제 지원 분석 현황
(플랫폼별) 2019년 삭제지원 현황을 살펴보면 개인과 개인이 직접 파일을 공유하는 P2P(피투피)를 통해 유포된 피해촬영물의 삭제가 가장 많았으며(29,090건, 32.3), ‘검색결과 삭제’ 지원과 ‘성인사이트’ 삭제 지원이 그 뒤를 이었다.
2019년은 지난해에 비하여 SNS(사회관계망서비스)에 대한 삭제지원 비율이 하락한 반면, P2P(피투피)에 대한 삭제지원 비율은 크게 증가하였다.
SNS(사회관계망서비스)에 대한 삭제 지원 비율이 하락한 이유로는 피해영상물이 주로 유포되는 텀블러(tumblr)에서 올해 초부터 자정 노력을 한 결과 텀블러(tumblr)의 유포가 줄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P2P(피투피)에 대한 삭제 지원 비율이 크게 증가한 이유는 피해영상물이 주로 유포되는 토렌트 사이트에서 피해영상물 삭제가 가능한 ‘삭제 요청 창구’를 파악했기 때문이다.
<플랫폼별 삭제지원 현황>(단위: 건)
(피해촬영물) 2019년 지원센터에서 확보한 피해촬영물은 2,627건(66.7)으로 사진형태가 가장 많았다. 특히 피해자 한 명당 피해촬영물이 100건이 넘는 경우 피해촬영물은 주로 사진형태이다.
<이미지형태 기준 분류 현황>(단위: 건)
촬영장소는 사적공간이 2,499건(63.4)으로 가장 많았고, 지하철․공중화장실 등 공공장소가 1,044건(26.5)으로 그 뒤를 이었다.
<촬영장소 기준 분류 현황> (단위: 건)
촬영내용을 보면 성적 부위 촬영이 1,254건(31.8)으로 가장 많았고, 사진 도용․합성 등 일상사진이 피해영상물이 된 경우가 1,033건(26.2)으로 그 뒤를 이었다.
성행위 촬영물은 378건(9.6)으로 전체 피해촬영물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촬영내용 기준 분류 현황>(단위: 건)
(개인정보 유출) 2019년 삭제지원 중 피해촬영물과 함께 피해자를 식별할 수 있는 개인정보가 유출된 경우는 전체 삭제지원 90,338건 중 21,514건(23.8)을 차지하였다.
유출된 개인정보는 성명이 15,816건(73.6)으로 가장 많았고, 소속이 2,773건(12.9), 나이가 2,116건(9.8)으로 그 뒤를 이었다.
개인정보 유출 항목 중 이름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이유는 피해자의 이름을 피해촬영물 핵심어(키워드)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개인정보 유출 관련 현황> (단위: 건)
● 합계 내 괄호는 전체 삭제지원 건수 대비 비율임.
이정옥 여성가족부장관은 “이번 보고서는 하루가 다르게 범죄의 유형과 양상이 점점 복잡해지고 있는 디지털성범죄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고 신속한 대응과 피해자 지원의 중요성을 알려주는데 의미가 있다”라며,
“여성가족부는 방송통신위원회, 경찰청,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등과 협력하여 불법촬영물 등에 대한 ‘공공 DNA DB(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시스템을 통한 피해촬영물 검색 등 지원방식을 효율화하여 효과적인 피해자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