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꿈, 가족의 행복, 공감도시 울산
  • HOME
  • 자료실
  • 정책동향

정책동향

게시판 내용보기
제목 [보건복지부] 「중이염」 질환, 9세이하 소아·아동이 절반이상 차지
작성일 2017-07-07 조회 11291
첨부파일 중이염_질환_9세_이하_소아·아동이_절반_이상_차지.hwp

「중이염」질환, 9세이하 소아·아동이 절반이상 차지

 

 

2015년 진료인원 216만 명 … (남) 103만 4천 명 (여) 112만 4천 명 - 9세 이하(54.0), 10대(8.8), 50대(7.6) 순

 

9세 이하(건강보험 적용대상 454만 3 천 명) 중 26는 중이염 진료환자

 

중이염 ☞

고막과 내이(달팽이관) 사이의 공간을 중이강이라 하는데 이곳에 일어나는 모든 염증성 변화를 총칭함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중이염(H65-H67)’ 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인원이 2010년 244만 3천 명에서 2015년 215만 8천명으로 연평균 (2.4↓)감소하였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2010년 117만 2천 명에서 2015년 103만 4천 명으로 연평균 (2.5↓) 감소하였고, 여성은 2010년 127만 명에서 2015년 112만 4천 명으로 연평균 (2.4↓) 감소하였다.

 

< “중이염“ 건강보험 진료환자 현황 >

(단위 : 명, )

“중이염“ 건강보험 진료환자 현황
구 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연평균
증감률()
2,442,901 2,509,677 2,505,391 2,370,532 2,233,178 2,158,367 ↓2.4
남 성 1,172,453 1,205,016 1,200,137 1,134,506 1,067,706 1,034,197 ↓2.5
여 성 1,270,448 1,304,661 1,305,254 1,236,026 1,165,472 1,124,170 ↓2.4

 

2015년 기준 전체 진료인원은 215만 8천 명이었으며, 이중 9세 이하 소아·아동은 116만 5천 명으로 전체 중이염 진료인원의 54.0에 해당하여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2015년 '중이염' 질환 연령대별 / 성별 진료인원 현황 >

2015년 '중이염' 질환 연령대별 / 성별 진료인원 현황
구분 전체 9세 이하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70대 이상
계(비율) 2,158,367 1,165,431 190,391 101,546 148,497 149,910 163,985 123,075 115,532
(100) (54.0) (8.8) (4.7) (6.9) (6.9) (7.6) (5.7) (5.4)
남성(비율) 1,034,197 606,301 98,476 40,638 58,336 65,076 67,140 52,426 45,804
(100) (58.6) (9.5) (3.9) (5.6) (6.3) (6.5) (5.1) (4.4)
여성(비율) 1,124,170 559,130 91,915 60,908 90,161 84,834 96,845 70,649 69,728
(100) (49.7) (8.2) (5.4) (8.0) (7.5) (8.6) (6.3) (6.2)

※ 9세 이하(건강보험 적용대상 454만 3 천 명) 중 26는 중이염 진료환자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최현승 교수는 9세이하 소아·아동이 중이염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유소아는 성인에 비해 면역기능이 미숙하고 감기와 같은 상기도 감염이 잘 생기며 아데노이드(코편도)와 같은 림프조직의 염증과 부종으로 이관기능장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유소아 이관의 구조는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넒고,짧으며 수평에 가까워 상기도 감염균이 이관을 통해 중이강으로 들어갈 가능성이 높아 중이염에 쉽게 걸릴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2015년 9세 이하 소아·아동의 연령 1세구간별로 살펴보면, 2세 아이가 21만 1천 명으로 가장 많았고, 1세 아이는 21만 명, 3세 아이는 18만 4천 명 순으로 많았다.

 

최현승 교수는 9세 이하 소아 · 아동 중에서 2세 아이가 가장 많은 이유에 “급성 중이염과 삼출성 중이염은 신생아 때에는 엄마한테 받은 항체의 역할로 잘 생기지 않지만 생후 6개월 이후에 급격히 많아지기 시작하고 2세경에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전적인 성향도 있으며, 환경적 요소로 담배를 피우는 가족이 있거나 모유 수유를 하지 않은 경우에 더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어린이집 등과 같은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시기에 감기와 같은 바이러스 질환이나 기타 감염에 노출되기 쉽기 때문에 중이염이 많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설명하였다.

 

2015년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을 연령대별,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은 9세 이하가 25,952명으로 가장 많고, 10대 3,436명, 70대 이상이 2,747명 순이며, 여성은 9세 이하가 25,340명으로 가장 많고, 10대 3,501명, 60대 2,819명 순으로 나타났다.

 

최현승 교수는 ‘중이염’ 발생과 청각장애 연관성 여부에 대해 “중이염이 발생하여 공기로 채워져 있는 중이강 내에 액체가 차거나 고막의 천공이 발생하면 소리의 진동이 효율적으로 내이로 전달이 되지 않아 전음성 난청이 나타나고 중이염이 진행되면 혼합성 난청이나 감각신경성 난청으로 진행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중이염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문제점에 대해서는 “고막 천공, 고실 경화, 난청 등이 발생할 수 있고 드물지만 급성 유양 돌기염, 안면신경마비, 화농성 미로염, 뇌농양 등이 유발될 수 있다”고 밝혔다.

 

‘중이염’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0년 3,004억 원에서 2015년 2,696억 원으로 연평균 (2.1↓)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입원 진료비는 2010년 335억 원에서 2015년 364억 원으로 연평균(1.7↑)증가하였고, 외래는 같은 기간 2,669억 원에서 2,332억 원으로 감소(2.7↓)하였다.

 

 

< 연도별 '중이염' 질환 건강보험 진료비 현황 >

(단위: 백만 원, )

연도별 '중이염' 질환 건강보험 진료비 현황
구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연평균
증감률()
300,437 315,070 306,083 289,606 277,911 269,601 -2.1
입원 33,497 34,561 34,305 34,881 35,846 36,401 1.7
외래 266,940 280,509 271,778 254,725 242,066 233,200 -2.7

주) 수진기준(실제 진료 받은 일자기준), 약국 진료비는 외래에 포함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최현승 교수는 ‘중이염’의 예방법, 진단 ․ 검사 및 치료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중이염’ 질환의 원인

여러 가지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질환이지만 주로 코와 귀를 연결하는 이관의 기능장애와 세균이나 바이러스와 같은 미생물에 의한 감염이 가장 큰 원인이다.

 

‘중이염’ 질환 검사방법

외래에서 이경이나 이내시경을 통한 간단한 검사로 쉽게 진단이 가능하며 추가적으로 순음청력검사, 고막 운동성 검사, 측두골 단층촬영 등을 시행하여 확인할 수 있다.

 

‘중이염’의 증상 및 합병증의 종류

원래 비어있는 공간인 중이강에 염증이 생기면 삼출액이나 고름이 차고 청력 장애가 나타난다. 증상이 심해지면 고막의 천공과 함께 이루(고름이 귀 밖으로 나오는 것)가 생기고 귀의 통증과 어지럼증이 동반될 수 있다. 드물지만 염증이 뇌로 진행되거나 달팽이관에 구멍을 만들어 심한 합병증을 가져올 수도 있다.

 

‘중이염’의 치료법

급성 중이염은 항생제를 비롯한 적절한 약물치료를 주로 시행하고 삼출성 중이염의 경우 3개월 정도 경과 관찰 후에 환기관 삽입술이나 아데노이드 절제술 등을 고려한다. 만성 중이염은 적절한 약물치료나 수술적 치료(유양돌기 절제술, 고실 성형술 등)가 필요하다.

 

‘중이염’의 예방 및 관리요령

아직까지 중이염을 예방하기 위한 특별한 예방법은 없다. 보통 급성 중이염이 진행되어 만성 중이염으로 이행되기 때문에 특히 소아의 경우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를 통해 병의 진행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귀의 통증이나 이루, 청각장애 증상이 발생하면 빨리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 작성기준 ◈

  • 건강보험 급여실적(의료급여 및 비급여 제외), 한의분류 제외, 주상병 기준(부상병 제외), 진료실인원은 약국제외, 진료비는 약국포함
  • 수진기준(실제 진료 받은 일자기준), 2015년은 2016년 6월 청구분까지 반영하며, 미청구분 자료 있을 수 있음,
  • 진단명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호소, 증세 등에 따라 1차진단명을 부여하고 청구한 내역중 주진단명 기준으로 발췌한 것이므로 최종 확정 된 질병과는 다를 수 있음 본 자료는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에 근거한 자료이므로 실제 유병자료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대상 질병코드 : 중이염(H65-H67)
    ※ 질병코드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통계청)에 의함
  •  

<참고자료>

  1. '중이염' 건강보험 성별/연령대별 진료실인원 현황
  2. '중이염' 건강보험 성별/연령대별 인구 10만 명 당 진료인원 현황
  3. '중이염' 건강보험 9세이하 성별/연령 1세 구간별 진료인원 현황
  4. '중이염' 건강보험 성별/연령대별 진료비 현황
  5. '중이염' 건강보험 성별/연령대별 진료 1인당 진료비 현황

 

원글링크 :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40393

SNS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