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생애주기별 4개 영역(출산, 아동보육, 청년층, 경력단절)에 대한
출생 및 혼인코호트별 주요 특성 분석 결과
◈ 출산과 아동돌봄
○ 기대자녀수는 4.5명(1950년~1954년 혼인)에서 1.9명(2005년~2009년 혼인)으로 감소
○ 혼인코호트별 무자녀 비중은 2.6(1990~1994년 혼인코호트)에서 5.9(2000~2004년 혼인코호트)로 증가
○ 199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전반 혼인코호트에서 첫 출산간격은 완만하게 증가
- 혼인코호트별 첫 출산간격은 1970~1974년 혼인코호트부터 1990~1994년까지 완만한 감소 추세이나,
1990년대 후반 혼인코호트부터 첫 출산간격은 완만하게 증가
- 2000년대 중반 혼인코호트부터 만혼으로 인해 첫 출산간격은 감소
○ 서울·경기·세종에 거주하는 기혼여성은 결혼 후 첫 출산을 지연시키는 경향이 강함
- 첫 출산간격이 긴 지역은 서울(1.75년), 경기(1.66년), 세종(1.63년) 순임
○ 취업모의 자녀는 비취업모의 자녀보다 어린이집·놀이방 이용률이 17.4p 높음
◈ 노동시장 진입과 경력단절
○ 2010년에서 2015년 기간 청년층 인구(15~34세) 중 비재학·비취업 인구는 0.6p 증가한 반면,
재학·비취업 인구는 1.8p 감소
- 이 같은 변화는 동 기간 중 청년층의 진학률 감소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보임
○ 여성 청년층(15~34세)의 취업자 비중은 20대 후반까지 상승세를 유지하나 이후 점진적으로 하락
- 29세 이후에 남성은 비재학·취업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여성은 감소함
○ 2010년~2015년 기간 중 여성의 ‘M’자 곡선의 함몰 시기는 지연되고, 깊이는 완화
- 2010년에는 30대 전반과 30대 후반의 취업자 비중이 유사하나, 2015년에는 30대 후반의
취업자 비중(56.5)이 가장 낮아 여성의 경력단절 함몰의 시기가 지연되고, 함몰의 깊이도 완화
○ 경력단절 사유로 ’결혼’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으나, 1960년생 이후 ’임신·출산‘으로 인한
경력단절의 비중이 상승하여 1978년생 이후 경력단절의 주된 사유가 됨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글링크 :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3647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