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군·구 공무원 성희롱 등 피해경험, 11.1
- 기초지자체 성희롱·성폭력 실태 등에 대한 온라인 조사 결과 -
- 기초지자체 공무원 26만 2천 명 중 41.3인 10만 8천명 응답 -
- 공공부문 종사자 피해경험 6.8 보다 4.3p 높은 수준 -
- 기관 내 성희롱·성폭력 예방조치에 대한 신뢰도, 공공부문보다 낮아 -
여성가족부(장관 정현백)가 전국 226개 시․군․구 공무원을 대상으로 성희롱⋅성폭력 피해경험, 사건 발생 후 대처 등에 관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한 결과, 공무원 11.1가 3년간 직접적인 성희롱⋅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4월에 발표한 공공부문 종사자 온라인 조사결과(6.8)에 비해 4.3p 높은 수치로, 기초지자체의 조직문화 개선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 관련 보도자료 : 4.13(금), ‘공공부문 종사자 6.8, 성희롱ㆍ성폭력 피해경험’
이번 조사는 기초지방자치단체 공무원 26만 2천명을 대상으로 4월 11일(수)부터 5월 4일(금)까지 실시하였으며, 41.3인 10만 8천명이 응답했다.
‘공공부문 성희롱⋅성폭력 방지조치 특별점검’의 하나로 지난 4월 앞서 중앙부처·광역지자체·공직유관단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조사한데 이어, 2차로 전국 시·군·구 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것이다.
기초지자체 공무원 전체를 대상으로 성희롱·성폭력 실태를 조사한 첫 사례다.
이번 기초지자체 ‘온라인 조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이 자료는 ‘공공부문 성희롱·성폭력 특별점검’을 위하여 공무원의 성희롱· 성폭력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일회성으로 실시된 ‘사전 온라인 조사’로 국가승인통계가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 조사결과는 모집단의 대표성을 고려하여 가중치를 부여한 결과임을 알려드립니다.
(최근 3년간 성희롱⋅성폭력 직접 피해경험) 조사대상 전체 공무원 26만 2천 명 중 11.1가 최근 3년간 성희롱⋅성폭력의 ‘직접 피해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성별에 따른 피해 경험률을 살펴보면 남성 2.8, 여성 18.5로 여성의 피해경험이 높지만, 남성 또한 성희롱·성폭력 피해의 예외가 아님을 보여준다.
(성희롱·성폭력 피해 시 대처 여부) 성희롱·성폭력 사건 발생 후 어떻게 대처 했는가 라는 질문에 ‘그냥 참고 넘어감(74.5)’이라고 답한 비율도 1차 공공부문 응답자의 비율(67.3)보다 높다.
성희롱·성폭력 피해 후 도움을 요청하지 않은 이유로는 ‘분위기를 깨거나 나만 이상한 사람이 될 것 같아서’라는 답변이 많았다.
특히 피해가 있다고 응답한 자 중 3.9만이 직장 내 공식 기구를 통하여 신고했다.
* 피해 시 대처 여부 : 그냥 참고 넘어감(74.5), 직장 내 동료나 선후배에게 의논(19.6), 고충상담원 등 공식기구에 요청(3.9) 순
(기관 내 성희롱·성폭력 예방조치에 대한 신뢰도) ‘기관장과 고위직의 성희롱·성폭력 예방 노력’, ‘고충상담 창구 운영’, ‘사건처리에 대한 신뢰도’를 묻는 질문에 ‘매우 그렇다’라고 답변한 비율도 1차 공공부문보다 전반적으로 낮다.
또한, 직원들이 주관식으로 응답한 내용에 직장 내 관행적으로 용인되고 있는 성희롱 발언, 술자리 회식 중 불필요한 신체접촉 등에 대하여 인식개선을 요구하는 의견이 많았다. 지방자치 업무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주민자치단체, 유관단체 등에 의한 피해경험 사례도 일부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각 시․군․구에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통보하고,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 고충상담창구 설치 및 신고절차 등 홍보, 성희롱 예방교육의 내실화, 기관 내 성희롱·성폭력 실태 파악, 재발방지대책 수립ㆍ시행 등 성희롱ㆍ성폭력 방지를 위한 조치를 실시할 것을 촉구했다.
「범정부 성희롱·성폭력 근절 추진점검단」 단장인 이숙진 여성가족부 차관은 “성희롱·성폭력 없는 성평등한 조직문화는 일부 직원의 노력만으로는 이룰 수 없으며, 기관장의 노력과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강조하고, “6.13. 지방선거로 새롭게 임기가 시작되는 기초지방자치단체장들이 더욱 강력한 의지를 가지고 성희롱·성폭력 방지대책 추진 및 조직문화 개선에 앞장서 주시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아울러 “여성가족부는 사전조사 성격의 온라인 조사에 이어 현재 공공부문 및 기초지자체 특별점검을 실시 중으로, 앞으로 이 결과 등을 고려해 개별 기관별 심층점검도 계획하고 있다. 기초지자체의 조직문화가 혁신돼 전국 전역의 공공․민간부문 전체로 확산될 수 있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붙임1. 「성희롱·성폭력 방지조치 특별점검」 관련 온라인 조사 개요
□ 온라인 조사 목적
○ 공공부문 직장 내 성희롱·성폭력 방지조치 특별점검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전에 공무원을 대상으로 성희롱·성폭력 피해경험, 기관 내 사건처리 실태 등 파악
- 익명성이 보장되는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여 응답의 신뢰도 제고
□ 조사 개요(2차)
○ (대상) 전국 시·군·구 226개
○ (기간) `18. 4. 11. ~ 5. 4.
○ (방법) 예방교육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한 온라인 조사 실시
* 12개 문항의 설문조사 형식, 응답자는 기관별 주소로 접속, 소속기관명과 응답자명이 노출되지 않도록 설계
○ (내용) 최근 3년 내 성희롱·성폭력 피해경험, 피해유형, 행위자와 관계, 성희롱·성폭력 발생 후 대처, 사건처리 조치 적절성, 신고 후 2차 피해 등
* 응답자 기본사항 : 직책(직위), 정규직/비정규직, 성별, 나이
□ 조사 결과
○ 온라인 설문 응답률 : 41.3 (108천명/262천명)
□ 향후 계획
○ 조사 결과 「공공부문 성희롱·성폭력 방지조치 특별점검」의 기초 자료로 활용
○ 개별 기관통보를 실시하여 기관 내 방지조치 등 대응역량 제고
붙임2. 시·도별「성희롱⋅성폭력 방지조치 특별점검」 관련 온라인 조사 결과
원문링크: http://www.mogef.go.kr/nw/enw/nw_enw_s001d.do?mid=mda700&bbtSn=70629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