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꿈, 가족의 행복, 공감도시 울산
  • HOME
  • 자료실
  • 정책동향

정책동향

게시판 내용보기
제목 [여성가족부]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인권선언문 ‘여권통문(女權通文)’을 아십니까?
작성일 2018-08-27 조회 10611
첨부파일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인권선언문 ‘여권통문(女權通文)’을 아십니까? 
국립여성사전시관 특별기획전 연계 심포지엄 개최-

 

여성가족부(장관 qor

)  산하 국립여성사전시관(관장 기계형)은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인권선언문 ‘여권통문(女權通文)’ 발표 120주년을 기념해2018 특별기획전 연계 심포지엄을 8 24(오전 9 30분 서울역사박물관 야주개홀(서울시 종로구 새문안로 소재)에서 개최한다.

‘시대를 앞선 여성들의 외침여권통문과 세계의 여성인권선언’이란 주제의 이번 
심포지엄에서 다수의 역사학자들이 발제자로 나서 여권통문의 역사적 의미를 살펴보고세계 근대사 속의 여성인권운동과 함께 비교분석한다.

‘여권통문(女權通文)’은 1898 9 1일 서울 북촌에서 이소사*, 김소사 이름으로 발표된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인권선언으로여성의 근대적 권리인 교육권직업권참정권을 주장했다.

 

 

소사(召史) : 기혼여성을 일컫는 말

여권통문은 선언에 그친 게 아니라 이후 국내 최초의 여성단체(찬양회)와 한국여성에 의한 최초의 여학교(순성여학교설립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그 실천력이 높이 평가되고 있다.

심포지엄은 크게 3부로 구성됐으며근대 서구사회와 아시아 타지역의 여성운동 흐름을 살펴보고그 속에서 ‘여권통문’을 재조명한다.

1부 ‘근대의 동시대성유럽의 경험들’에서는 프랑스혁명과정에서 출현한 여성인권선언의 어머니올랭프 드 구즈와 ‘여성과 여성시민의 인권선언’이 영국독일미국 등 서구사회 여성운동이 성장하는 중요한 밑거름이 됐음을 살펴본다.

2부 ‘근대의 다의성또 다른 근대성’에서는 한국을 포함하여 아시아 및 이슬람 지역의 여성인권선언 및 여성운동의 발전 양상을 조명한다.

3부에서는 기계형 국립여성사전시관 관장을 좌장으로 모든 발표자와 토론자들이 참여하는 종합토론이 진행된다
 

여성가족부 장관은 “‘여권통문’선언은 19세기 말 우리사회 여성들이 전통적 여성관에서 벗어나 여성의 근대적 권리를 주체적으로 자각하기 시작했음을 보여준다이 같은 자각과 행동이 세계적인 여성운동의 흐름 속에 함께 자리하고 있었다는 데 주목해야 한다.”라고 평가했다.

“이번에 준비한 국립여성사전시관의 특별기획전과 연계 심포지엄을 계기로 오랫동안 제대로 역사적 의의를 평가받지 못한 ‘여권통문’을 새롭게 조명하고우리의 자생적인 여성운동 전통을 복원하고 널리 알려 나가고자 한다이는 우리의 성평등 문화 확산에도 큰 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라고 밝힌다.

붙임1. 국립여성사전시관 특별기획전 연계심포지엄

 심포지엄 구성

 

 

 

 

붙임2. 여권통문(女權通文)’이란?

 여권통문(女權通文개요

○ 작성일 : 1898 9 1
○ 작성 장소 : 현재까지   없음
○ 작성자 : 북촌( 서울 종로구출신의 이소사와 김소사 
○ 신문게재 : 전문『황성신문』(1898.9.8.),『독립신문』(1898.9.9), 
발췌문『제국신문』(1898.9.6), 독립신문 영자신문(1898.9.10)
○ 여권통문 관련 장소 : 입증가능 자료(문헌자료지적도토지대장 등) 기초할 홍문섯골 사립소학교 자리(한성부 남서 대평방 홍문동계 홍문동 8 1현 서울 중구 남대문로 10 29) 

○ 여권통문 내용


첫째여성도 교육받을 권리가 있다 (교육권)
교육은 남녀평등의식을 고양시키고 교육을 통해서 여성은 정치참여 의식직업의 기회를 가진다.
둘째여성도 직업을 가질 권리가 있다 (직업권)
경제활동은 여성의 의식주 문제를 해결하고 독립된 인격 확립의 시작이다.
셋째여성도 문명개화 정치에 참여할 권리가 있다 (참정권)
새롭게 변화하는 시대에 여성들도 개화정치에 등장해야 한다.

 여권통문의 역사적 의의

 

 

○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인권선언문으로서 여성의 교육권직업권참정권 획득에 영향을 미침

여권통문 전문을 실은 ‘황성신문 보도 >

 

 

국립여성사전시관 2018 특별기획전 전시예정서예가 박정숙 선생의 ‘여권통문’ >

 

 

원문링크:http://www.mogef.go.kr/nw/enw/nw_enw_s001d.do?mid=mda700&bbtSn=706461

SNS로 공유하기